2025년 4월 23일 방송된 MBC 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에서는 글로벌 통상 정책 변화와 국내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슈들이 다뤄졌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조정 발언, MBK파트너스에 대한 국세청의 세무조사, 그리고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트럼프 대통령, 대중 관세율 조정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현재 145%에 달하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상당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관세를 완전히 철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2~3주 내에 관세율을 재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과의 협상 결과에 달려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시사점: 이러한 발언은 미중 무역 갈등의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글로벌 금융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아시아 증시가 상승세를 보였고, 미국 증시도 반등했습니다 .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일관되지 않아 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2. 국세청, MBK파트너스 탈세 혐의 조사 착수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에 대한 고강도 세무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이번 조사는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지분 매각 과정에서의 탈세 혐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과거에도 MBK파트너스는 역외 탈세 혐의로 약 400억 원을 추징당한 바 있습니다 .
시사점: 이번 조사는 사모펀드의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대형 유통업체의 경영 안정성과 관련된 사안이므로, 소비자와 투자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3.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 발표
중국 정부는 최근 희토류 제품의 미국 수출을 제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의 일환으로, 미국의 첨단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조치입니다. 특히, 중국은 한국 기업에 대해 "중국산 희토류를 사용한 제품을 미국 군수업체에 수출하지 말라"는 경고성 공문을 보냈습니다 .
시사점: 중국의 이러한 조치는 한국 기업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반도체, 방산업체 등 희토류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공급망 재편과 원자재 확보 전략을 재검토해야 할 시점입니다.
이번 방송에서는 글로벌 통상 정책 변화와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며, 기업과 정부의 대응 전략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